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환자/보호자를 위한 의학지식: 항암치료 자기관리-탈모

의학 이야기

by Waffle House 2023. 8. 12. 22:25

본문

이번에 다룰 내용은 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와 보호자분들이 많이 궁금해 하시는 것 중 하나인 탈모에 대한 것입니다. 

 

환자/보호자분들을 대상으로 최대한 어려운 전문용어를 쓰지 않고, 문답 양식으로 간단히 요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Designed by Freepik

항암제는 왜 탈모를 일으키나요?

항암제는 여러 가지 기전을 통해 몸 속에서 활발히 분열하는 세포들에 작용하여 분열을 멈추게 하거나, 사멸하도록 만듭니다. 이를 통해서 비교적 빠르게 증식하는 암세포들을 죽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세포 외에도 우리 몸에서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머리와 몸의 모낭은 급속히 자라고 분열하는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항암제에 영향을 받아 탈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모든 항암제가 전부 탈모를 일으키나요?

모든 항암제에 의해 탈모가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약제에 따라서 탈모를 일으키는 정도가 달라 머리카락이 듬성듬성 빠지거나 성글어 지기도 하고, 전부 빠지기도 합니다. 탈모는 머리뿐 아니라 몸의 다른 체모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일시적인 증상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항암제가 탈모를 잘 일으키나요?

항암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비 의료인이 각 항암제의 특성에 대해서 모두 알기는 어렵습니다. 환자가 자신의 항암 약제와 스케줄,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해 담당 종양내과 의사와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며, 탈모 여부에 대해서도 주치의와 미리 충분히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참고를 위해 탈모를 잘 일으키는 항암제들을 아래 표로 제시하였습니다.

심함 중간 경미
독소루비신 카보플라틴 블레오마이신
에피루비신 메토트렉세이트 카페시타빈
도세탁셀 빈크리스틴 시스플라틴
파클리탁셀 빈블라스틴 트라스트주맙 데룩스테칸
에토포시드 옥살리플라틴 플로로우라실
이리노테칸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마이드
 

 

항암제 투여 후 언제 탈모가 발생하나요?, 항암제 종료 후에는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나요?

탈모가 발생하기 전 두피가 아프거나 가렵기도 합니다. 탈모는 보통 항암제 투여 후 2~3주 안에 시작되고 항암제 투여가 종료된 후 6~8주 정도면 머리카락이 다시 나기 시작합니다. 다시 나는 머리카락은 이전의 머리 카락과 색깔, 굵기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탈모에 대한 대처 방안이 있을까요?

탈모가 진행되면서 자신의 신체 모습을 받아들이기 어렵고 우울하거나 화가 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탈모는 일시적인 증상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마음을 편하게 합니다. 

 

Designed by Freepik



대처 방안

•두피에 자극이 적게 가는 순한 샴푸를 사용하고 충분히 헹구어 냅니다.

•머리를 일주일에 2~3회 이내로 감고, 너무 자주 감지 않도록 합니다.
머리를 감은 후 수건으로 두드려 말리고 열풍, 매직기나 고데기 등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습니다.
파마나 스프레이, 젤, 염색은 치료기간 동안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다만, 치료가 끝나고 머리카락이 다시 자란 후에는 할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을 조심스럽게 다룹니다.
•탈모가 예상되는 분들은 미리 본인에게 잘 맞는 가발이나 모자, 스카프 등을 준비합니다.
머리를 미리 짧게 깎아 탈모에 따른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손질을 편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탈모된 두피가 상당 시간 햇빛에 노출 될 경우 두건이나 가발, 스카프, 모자 등으로 피부를 보호합니다.

 

참조자료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센터
서울아산병원 암교육정보센터

Uptodate, Alopecia related to systemic cancer therapy 2023.08

관련글 더보기